Factory 패턴
![[JAVA] JDBC사용하기 (Factory 패턴과 PreparedStatement)](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808fD%2FbtrwVtiTkjT%2F015XuDncf0fiX9Z4rTGAW0%2Fimg.jpg)
[JAVA] JDBC사용하기 (Factory 패턴과 PreparedStatement)
공부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혹시 글에 잘못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번에 작성했던 글에 이어서 오늘은 JDBC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Factory 패턴과 PreparedStatment에 대한 글을 적으려고 한다. PreparedStatement 저번에 작성했던 글을 보면 SQL문을 보낼 Statement 객체는 3가지 종류가 있다. Statement : SQl을 보내기 위한 통로. 인자가 없음. PreparedStatement : Statement와 동일한데 차이점은 인자값으로 SQL을 받기 때문에 특정한 SQL에 대한 통로라고 생각하면 된다. CallableStatement : PL/SQL을 호출할 때 사용 이 중에서 마지막 statement는 아직 PL/SQL을 배우지 않았기 ..